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7)
비개발자를 위한 개발 프로세스 핵심 용어 사전 🧠 웹·앱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는 핵심 용어를 비개발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정리한 용어 사전입니다.keywords: 개발 용어, 웹 개발 용어, 앱 개발 용어, 비개발자 가이드, 코딩 기초, 개발 프로세스, 초보자 개발 용어  웹이나 앱 서비스를 처음 기획하거나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그게 뭔데요' 싶은 단어들이 계속 튀어나온다.“이건 무슨 뜻이지?” “전문가들끼리만 아는 말 아냐?”라는 생각하지만, 알아듣는 척 하거나 대충 이런 의미겠거니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단어 자체의 실질적 뜻을 이해 못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이번 글에서는 웹/앱 서비스 개발 전 과정을 따라가며, 각 단계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아주 쉽게 정리해 보았다.요즘 바이브 코딩 흉내를 내며 개발의 여러 ..
바이브코딩 툴 소개: AI로 혁신적인 코딩 방식 구현하기 자연어 → 코드, 이제는 아이디어만 있으면 시작할 수 있다.“웹사이트 로그인 기능을 다크모드로 바꿔줘.” 이 한마디면 로그인 시스템 전체가 자동 생성된다면? 몇 년 전만 해도 상상에 가까웠던 일이지만, 이제는 실리콘밸리의 개발자들이 일상적인 개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바이브코딩(Vibe Coding)’이 있다.바이브코딩, 어디까지 왔을까? 🚀 바이브코딩은 자연어로 명령을 내리면 AI가 코드를 생성해주는 기술이다. 이전에도 비슷한 개념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훨씬 더 정교하고 실용적인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발전 덕분에, 단순히 버튼 하나 만드는 수준이 아니라 로그인 로직, 데이터베이스 연동, 프론트엔드 구현까지 하나의 명령어로 처리되는 수준이다. 예를 들..
chatGPT-4o의 답변이 이상한 거 같아요! 저만 그런가요?! 최근 chatGPT-4.5 등 새로운 모델이 출시된 이후, 묘하게 잘 사용하던 4o 모델의 성능이 떨어진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내 경험을 예로 들자면, 예전에 물어봤던 내용을 다시 물어봤는데 예전과 다른 내용으로 이야기하고, 왜 달라졌냐 물어보면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을 하며 '우긴다던가' 하는 일이다.  예전에 GPT로 사주를 보는 것에 대한 포스팅을 올린적이 있는데,  이때는 나의 대운수를 8이라고 설명했었다. 그런데 이번에 다시 나의 사주 관련해서 대화를 열면서 대운수를 다시 물었더니 4라고 하면서 대운 시기 풀이를 다르게 하길래, 왜 지난번에는 8이라더니 이번엔 4냐고 물어봤다. ✔️참고 : chatGPT가 사주도 봐주네✨ :: Algobee - AI 정보를 전달하는 꿀벌  chatGPT가 사..
MBTI 성향을 시각화하는 웹페이지 개발기: 우주먼지의 좌표 프로젝트 MBTI Step II 기반의 심층 성향 분석을 통해 나만의 좌표를 시각화하는 웹페이지 '우주먼지의 좌표' 개발 과정과 데이터 분석, UI 구현까지의 전 과정을 소개합니다.keywords: MBTI Step II, 성격 유형 분석, MBTI Facet, 우주좌표 테스트, JavaScript MBTI, 웹 개발 프로젝트, 성향 시각화  MBTI 검사는 우리가 스스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도구다. 하지만 단순히 1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 것만으로는 개개인의 미묘한 차이를 온전히 담아내기 어렵다. 그래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MBTI Step II의 2nd Facet 분석을 바탕으로 XYZ 우주좌표를 생성하는 웹페이지를 개발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개념과 데이터 분석 과정, 그리고 개발 과정에 대해 다..
바이브 코딩(Vibe Coding) 소개: AI와 협업하는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 최근 개발자들 사이에서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AI가 자연어 명령을 이해하고, 코드로 변환해주는 방식으로, 단순한 자동완성을 넘어 개발 프로세스를 변화시키고 있다.🎯 바이브 코딩이란?기존에는 개발자가 직접 코드를 작성해야 했지만, 바이브 코딩에서는 AI가 자연어 명령을 받아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예를 들어,  "이 버튼을 둥글게 만들어줘."  "로그인 화면을 다크 모드로 바꿔줘."이와 같은 요청을 하면 AI가 CSS나 JavaScript 코드를 작성해주는 방식이다. 이제 개발자는 직접 코드의 모든 부분을 작성하기보다는 AI와 협업하여 개발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 바이브 코딩의 작동 원리바이브 코딩은 단순한 코드 자동완성이 아니라 AI와 협업하는 개..
Replit과 AI를 활용한 반응형 뉴스레터 웹페이지 개발 가이드 Replit의 이번달 사용한도가 reset 되었기에, 최근에 만들고 싶었던 뉴스레터 만드는 웹페이지를 만들어 보았다. 업무상의 이유로 뉴스레터를 반응형으로 만들어 제공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었고, AI의 도움으로 뉴스레터의 기본 틀을 만들고 html 파일로 저장을 해두었다. 그 파일을 가지고 뉴스레터를 만들수있는 Editor와 배포/html 파일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웹페이지를 만들었다.   지난번에 미드저니 API 관련 개발했을 때와 달리, 최종적으로 내가 만들고 싶은 결과물(뉴스레터 html)을 만들고, 그것을 위해 기능을 하나씩 덧붙여가는 방식으로 가니 오히려 뭔가 진도가 수월하게 나갔던 것 같다. 🪄 개발 과정  뉴스레터 템플릿 (index.html) 구현 → 템플릿 Editor (ed..
AI 이미지 실험: 맥주잔에서는 넘치는 와인이 와인잔에서는 안 넘친다! 1. 실험 개요 이번 실험에서는 AI 이미지 생성 모델이 맥주잔과 와인잔의 차이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테스트했다. 지난번에는 "와인잔에 와인이 넘치는 모습"을 프롬프트 개선을 통해 완성해 보려했지만, 사실상 실패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다른 분이 아이디어를 내주셔서, "맥주잔에 맥주가 넘치는 모습"을 활용해 한번 만들어 보기로 했다.  ✔️ 지난글 참고 : AI는 와인잔에 와인이 넘치는 모습을 그리지 못한다?! 🍷 :: Algobee의 용감한 모험  AI는 와인잔에 와인이 넘치는 모습을 그리지 못한다?! 🍷AI 이미지 생성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제 우리는 몇 마디 문장만 입력해도 멋진 그림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AI는 과연 완벽한 창작 도구일까? 최근 AI가 특정 장면을 묘사하는 데 한계를 보이는soo..
AI로 더 쉽게 만드는 비즈니스 이메일 작성법 1. AI로 교육자료를 만든다고? !👍업무에서 이메일 한 통 쓰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 단순히 내용을 전달하는 게 아니라, 상대방이 오해 없이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써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늘 길고 복잡한 이메일에 둘러싸여 있다. 이럴 때 AI를 활용하면 더 쉽고 효율적으로 이메일을 정리할 수 있다. 이번에는 ChatGPT를 이용해 비즈니스 이메일 작성법 교육자료를 만든 과정을 소개하려 한다. 2. 이메일, 이렇게 쓰면 안 됩니다 ❌최근에 좀 충격적인 이메일을 보고, "요즘엔 비즈니스 글쓰기를 배우지 않나?" 라는 의문이 들었다. 예전에 비해 자유로워지긴 했지만, 그래도 일단 "이해가 되지 않도록 메일을 작성하는 것"은 형식의 문제 이전에 커뮤니케이션에 큰 문제를 일으킨다.그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