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Hub/AI 활용법

AI 이미지 실험: 맥주잔에서는 넘치는 와인이 와인잔에서는 안 넘친다!

1. 실험 개요

 

이번 실험에서는 AI 이미지 생성 모델이 맥주잔과 와인잔의 차이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테스트했다. 지난번에는 "와인잔에 와인이 넘치는 모습"을 프롬프트 개선을 통해 완성해 보려했지만, 사실상 실패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다른 분이 아이디어를 내주셔서, "맥주잔에 맥주가 넘치는 모습"을 활용해 한번 만들어 보기로 했다. 

 

✔️ 지난글 참고 :

AI는 와인잔에 와인이 넘치는 모습을 그리지 못한다?! 🍷 :: Algobee의 용감한 모험

 

AI는 와인잔에 와인이 넘치는 모습을 그리지 못한다?! 🍷

AI 이미지 생성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제 우리는 몇 마디 문장만 입력해도 멋진 그림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AI는 과연 완벽한 창작 도구일까? 최근 AI가 특정 장면을 묘사하는 데 한계를 보이는

soonmoo321.tistory.com

 


2. 사용한 프롬프트 및 이미지 결과

 

🔹 실험 1: 맥주잔에 와인이 넘치는 장면

 

사용한 프롬프트:

A tall beer glass filled to the brim with deep red wine, 
overflowing slightly as the liquid spills over the edge. 
The wine cascades down the sides, forming small droplets. Warm lighting, cinematic depth.

 

 

맥주잔에-넘치는-와인-이미지
와인이 맥주잔에서 흘러넘치는 모습 (Dall.E)

 

결과 분석:

  • 와인이 맥주잔에서 자연스럽게 넘치는 모습이 구현됨
  • 와인 방울이 흩어지면서 액체의 역동적인 흐름이 표현됨
  • 표면 장력과 광원의 반사가 리얼하게 표현됨

아쉬운 점:

  • 와인의 질감이 다소 점성이 강한 액체처럼 표현됨
  • 거품이 많아 보이면서 맥주처럼 보이는 요소가 있음

총평: AI는 "맥주잔 + 넘치는 액체" 조합을 학습한 경험이 많아 이 장면을 쉽게 표현할 수 있었다.


🔹 실험 2: 와인잔에 와인이 넘치는 장면

 

사용한 프롬프트:

A crystal wine glass filled to the brim with rich red wine, 
overflowing as the liquid gently spills over the curved edge. 
The wine flows down smoothly, forming delicate droplets on the glass surface. 
Soft lighting, high realism, cinematic details.

 

와인잔에-넘치는-와인-이미지
와인이 흘러넘치는 와인잔의 모습 (Dall.E)

 

결과 분석:

  • 와인이 넘치는 장면이 구현되긴 했으나, 여전히 "튀어오르는" 느낌이 강함
  • 와인잔의 투명도와 빛 반사 효과는 고급스럽게 표현됨
  • 액체의 역동적인 흐름이 이전보다 자연스럽게 보임

아쉬운 점:

  • 넘치는 액체의 표현이 과장되어 물리적으로 부자연스러움
  • 와인이 단순히 흘러내리기보다는 "폭발하는 듯한" 느낌이 강함

총평: AI는 "와인잔 + 넘치는 액체" 장면을 정상적인 패턴으로 학습하지 못한 듯하다. 와인잔의 전형적인 이미지가 "가득 찬 우아한 모습"으로 학습되었기 때문에, 넘치는 장면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


3. 맥주잔과 와인잔의 차이 분석

구분 맥주잔 와인잔
넘치는 표현 자연스럽게 구현됨 부자연스럽고 과장됨
액체의 흐름 중력에 따라 자연스럽게 흐름 일부 소용돌이치는 느낌이 있음
AI 학습 패턴 맥주잔은 넘치는 이미지가 많음 와인잔은 가득 찬 모습이 많음
광원 효과 표면 장력과 반사 표현이 좋음 반사 표현은 좋지만 넘침 표현이 어색함

 

 

🚨 결론: AI의 패턴 학습 한계

 

1️⃣ 맥주잔에서는 넘치는 표현이 자연스럽다 → 맥주는 거품이 많고 넘치는 이미지가 많아 AI가 익숙함.

2️⃣ 와인잔에서는 넘치는 표현이 어색하다 → 와인잔은 "넘치지 않는 이미지"가 일반적이라 AI가 정상적인 패턴으로 인식하지 않음.

3️⃣ 와인의 질감이 다소 과장됨 → AI는 "넘친다 = 거품이 많다"는 잘못된 패턴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음.


4. 최종 결론

 

💡 이번 실험을 통해 확인한 사실

  • AI는 단순히 "물리 법칙"을 따르지 않고, 학습한 이미지 패턴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 맥주잔에서는 넘치는 와인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지만, 와인잔에서는 비정상적인 표현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 더 정밀한 프롬프트와 후처리 기법을 활용하면 AI의 표현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고 AI는 이야기 하지만, AI 하나만으로 해결하기에는 아직 힘들다.

 

AI에게 물었을 때, "물리법칙"이 어쩌고 하면서 어렵다고 했지만, 사실은 학습 데이터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인 것이다. 와인잔에 와인을 부어서 흘러넘치는 사진은 인터넷 상에 없다보니 결국 학습량 부족으로 만들어내지 못하는 것이었다. AI가 대답하는 말을 무조건 믿으면 안된다는 것을 오늘 또 한번 느끼고.......

 

🚀 AI 이미지 생성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는 여정은 계속된다!